2026년 기상기사 자격증 완벽가이드|응시자격·시험일정·합격률·취업 전망·연봉 총정리
2026년 기상기사 자격증은 기상 현상에 대한 전문적인 분석 능력과 예보 기술을 평가하는 국가기술자격증으로, 기상청이나 연구기관 등에서의 전문 인력 수요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2026년 기상기사 자격증의 응시자격, 시험일정, 합격률, 취업 전망, 연봉 등 수험생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핵심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자격 취득을 목표로 하는 분들이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최신 동향과 실무 활용성까지 함께 안내합니다.
![]() |
2026년 기상기사 자격증 정보
![]() |
기본정보
(1)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2)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3) 응시자격 : 제한 있음
(4)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정보
(1) 기상기사
기상기사는 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에 응시자격을 갖추어 합격한 사람에게 부여되는 자격으로, 기상 분야의 전문 기술인을 양성하기 위해 제정된 자격입니다. 이 자격은 기상 및 천문 관측장비를 활용해 정밀한 기상예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2) 자격 특징
기상 관련 자격에는 기상기사, 기상감정기사, 기상예보기술사의 세 가지 종목이 있습니다. 그중 기상기사는 기류의 방향과 속도, 기압, 온도, 습도 등 대기의 물리적 특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기상도를 작성하여 단기 및 장기 예보를 수행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또한 관측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회 전반에 필요한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핵심 직무를 담당합니다.
시험정보
(1) 응시자격 :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졸업자 | 비관련학과 전공자 |
|---|---|---|
|
· 동일(유사) 분야 다른 종목 기사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 대졸(졸업예정자) · 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3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1년 · 2년제 전문대졸 + 2년 · 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 + 2년 |
실무경력 4년 (동일, 유사 분야) |
※ 관련학과 : 4년제 대학 이상에 개설되어 있는 천문학과, 천문기상학과, 천문대기과학과, 대기과학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기계, 재료, 화학, 섬유·의복, 전기·전자, 정보통신, 식품가공, 인쇄·목재·가구·공예, 농림어업 등
(2)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 |
|---|---|---|---|
| 필기시험 | 변경 전 (’22.12.31까지) |
① 기상관측법 ② 대기열역학 ③ 대기운동학 ④ 기후학 ⑤ 일기분석 및 예보론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 (과목당 30분) |
| 변경 후 (’23.1.1부터) |
① 기상관측법 ② 대기물리학 ③ 대기운동학 ④ 기후학 ⑤ 일기분석 및 예보론 |
||
| 실기시험 | 일기분석 및 예보 실무 | 작업형 (4시간 정도) | |
(3) 합격 기준
기상기사 시험의 필기시험은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각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실기시험은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을 획득해야 합격으로 인정되며, 필기와 실기 모두 일정 수준의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4) 필기시험 면제
필기시험에 합격한 응시자는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이 면제됩니다. 따라서 2년 이내 재응시할 경우 실기시험만 응시하면 되며, 이는 수험생의 부담을 줄이고 자격 취득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5) 기상기사 5년 합격률
| 연도 | 필기 | 실기 |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 2024 | 436 | 233 | 53.4% | 243 | 137 | 56.4% |
| 2023 | 409 | 215 | 52.6% | 301 | 174 | 57.8% |
| 2022 | 367 | 202 | 55% | 318 | 79 | 24.8% |
| 2021 | 443 | 280 | 63.2% | 321 | 198 | 61.7% |
| 2020 | 404 | 257 | 63.6% | 352 | 202 | 57.4% |
(6) 2026년 시험일정
| 구분 |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 필기시험 | 필기합격(예정) 발표 | 실기원서접수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 2025년 정기 기사 1회 |
2025.01.13 ~ 2025.01.16 [빈자리 접수: 2025.02.01 ~ 2025.02.02] |
2025.02.07 ~ 2025.03.04 | 2025.03.12 |
2025.03.24 ~ 2025.03.27 [빈자리 접수: 2025.04.13 ~ 2025.04.14] |
2025.04.19 ~ 2025.05.09 | 2025.06.13 |
| 2025년 정기 기사 3회 |
2025.07.21 ~ 2025.07.24 [빈자리 접수: 2025.08.03 ~ 2025.08.04] |
2025.08.09 ~ 2025.09.01 | 2025.09.10 | 2025.09.22 ~ 2025.09.25 | 2025.11.01 ~ 2025.11.21 | 2025.12.24 |
※ 원서접수시간은 첫날 10:00부터 마감일 18:00까지입니다.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는 해당 발표일 오전 09:00에 공지됩니다.
※ 시험 일정은 지역 및 시험장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접수 일정은 큐넷(Q-net) 공지사항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위 일정은 2025년 기준이며, 2026년 기상기사 시험일정은 큐넷(Q-net)에서 공개되는 즉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7) 응시수수료
| 필기 | 실기 |
|---|---|
| 19,400원 | 33,900원 |
활용정보
(1) 취업
기상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기상청, 지역기상대, 기상연구소, 국립천문대 등 정부기관 및 공공 연구기관을 비롯하여 다양한 기상 관련 기관에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방송국의 일기예보 담당 부서나 민간 기상예보업체, 기상컨설팅 기업 등에서도 기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맞춤형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2) 우대
정부기관에 근무하는 경우 기상기사 자격증을 소지하면 채용 시 가산점이 부여되며, 자격수당이 별도로 지급되기도 합니다. 또한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의 채용, 보수, 승진, 전보 등에서 자격 보유자가 우대받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3) 가산점
기상기사는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상직렬의 기상 직류, 환경직렬의 일반환경 및 대기 직류 분야에서 8·9급과 기능직 8급 이하, 6·7급 및 기능직 7급 이상 채용 시 모두 5%의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단, 가산특전은 각 과목 40점 이상 득점자에게만 적용되며,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만 인정됩니다.
(4) 자격부여
기상산업진흥법에 따라 기상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기상청 또는 국공립 연구기관 등에서 2년 이상의 실무경력을 쌓거나 지정된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은 기상청장으로부터 면허를 받아 ‘기상예보사’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상관측표준화법에 의하면, 기상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기상관측업무종사자로서 공식적인 기상관측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5) 직업전망
향후 5년간 기상기사와 관련된 직업군인 천문·기상학연구원의 일자리 규모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가 과학기술 인력의 육성과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면서 기상과학 및 자연과학 분야 인력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기상기사의 전문성과 실무 역량을 갖춘 인력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6) 임금수준
기상기사와 관련된 직업인 천문·기상학연구원의 평균 연봉(중앙값)은 약 4,662만원으로, 전체 직업 평균 연봉인 4,072만원보다 높은 수준을 보입니다. 이는 기상기사의 전문적인 지식과 분석 능력이 요구되는 고급 기술직종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자료: 워크넷, 천문·기상학연구원 2021)
(7) 직업만족도
기상기사와 관련된 직업군의 직업만족도는 약 70.9%로 나타났습니다. 재직자들은 일자리의 안정성, 발전 가능성,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특히 기상정보의 중요성이 사회적으로 확대되면서 직업적 자부심이 높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자료: 워크넷, 천문·기상학연구원 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