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에너지관리기능장 자격증|응시자격·시험일정·합격률·취업전망·연봉 완벽정리

에너지관리기능장은 산업현장에서 보일러 및 열설비의 효율적 운전과 에너지 절약을 총괄하는 최고 수준의 기술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한 국가기술자격입니다.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과 설비 안전관리가 중요해짐에 따라 관련 기술자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6년 에너지관리기능장 자격증은 높은 난이도의 이론과 실무 능력을 요구하며, 에너지산업·건물관리·플랜트 설비 분야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가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응시자격, 시험일정, 합격률, 취업전망, 연봉까지 한눈에 정리합니다.

2026년 에너지관리기능장 자격증 정보

기본정보

(1)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2)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3) 응시자격 : 제한 있음

(4)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정보

(1) 자격 개요

① 에너지관리기능장은 사무용 빌딩, 아파트, 공장, 호텔 등에서 난방과 온수 공급을 담당하는 보일러 및 열설비를 전문적으로 관리·시공할 수 있는 최고 등급의 숙련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해 제정된 국가기술자격이다.

② 보일러는 산업현장과 건물의 온도 유지 및 열에너지 공급의 핵심 장치로, 복잡한 구조와 높은 위험성을 지니기 때문에 정밀한 시공과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보일러의 효율적인 운전과 안전한 취급을 위해 전문인력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③ 에너지관리기능장은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여 보일러 설치·운전·정비를 총괄하고 현장 기술자들을 지도·감독할 수 있는 고급 기술인력을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이다.

④ 또한 자격 취득자는 자동제어(PLC, 센서 등) 및 냉난방·대기·수질 관련 환경관리 기술을 함께 익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관련 자격증을 병행 취득하면 산업현장에서의 전문성과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2) 주요 업무

에너지관리기능장은 보일러 시공, 운전, 유지보수 등 전반적인 열설비 관리업무를 총괄하며, 현장에서 숙련 기능인들을 지도·감독하고 기술훈련을 수행한다. 또한 경영진과 생산현장을 연결하는 중간관리자로서 안전관리와 에너지 절약을 병행해 산업현장의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시험정보

기술자격 소지자 관련학과 졸업자 비관련학과 졸업자 순수 경력자
· 동일(유사)분야 기능장
· 산업기사 + 5년
· 기능사 + 7년
· 동일종목의 외국자격취득자
· 해당직무분야 산업기사 또는 기능사자격 취득 후
  기능대학 기능장과정 이수자(예정자)
폐지 9년 (동일, 유사 분야)

※ 관련 학과 : 기계공학과, 건축설비공학과, 건축설비자동화과, 산업설비과, 산업설비자동화과 등 공업계 고등학교 및 관련 학과 또는 공공 직업훈련원, 정부 직업훈련원, 사업체 내 직업훈련원의 관련 과정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재료, 화학, 전기·전자, 정보통신 중 방송무선, 통신, 안전관리, 환경, 에너지

구분 시험과목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필기시험 보일러구조학, 보일러시공, 보일러취급 및 안전관리,
유체역학 및 열역학, 배관공학, 보일러재료,
에너지이용합리화 관계법규, 공업경영에 관한 사항
전 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 (60분)
실기시험 보일러시공 취급 실무 복합형 (필답형 2시간 + 작업형 5시간 정도)

(3) 합격 기준 : 필기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4)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5)에너지관리기능장 합격률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4 1,969 959 48.7% 1,741 618 35.5%
2023 1,839 960 52.2% 1,695 553 32.6%
2022 1,589 826 52% 1,428 410 28.7%
2021 1,478 863 58.4% 1,308 446 34.1%
2020 939 558 59.4% 1,128 345 30.6%

※ 출처: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 에너지관리기능장 연도별 합격통계 (2020~2024)

(6) 2026년 에너지관리기능장 시험일정

구분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필기시험 필기합격(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휴일제외)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5년 정기 기능장 77회 2025.01.06 ~ 2025.01.09
[빈자리접수: 2025.01.19 ~ 2025.02.02]
2025.01.25 2025.02.06 2025.02.10 ~ 2025.02.13
[빈자리접수: 2025.03.09 ~ 2025.03.10]
2025.03.15 ~ 2025.04.02 2025.04.18
2025년 정기 기능장 78회 2025.06.09 ~ 2025.06.12
[빈자리접수: 2025.06.23 ~ 2025.06.23]
2025.06.28 2025.07.16 2025.07.28 ~ 2025.07.31 2025.08.30 ~ 2025.09.17 2025.09.30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이며,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입니다.
※ 시험 일정은 종목별·지역별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 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는 반드시 Q-net 공지사항을 참고해야 합니다.

📢 위 일정은 2025년 기준이며, 2026년 에너지관리기능장 시험일정은 추후 공개될 예정입니다.

(7) 응시수수료

필기 실기
34,400원 102,400원

활용정보

(1) 창업

에너지관리기능장 자격을 취득하고 충분한 경력을 쌓은 후에는 보일러 시공, 공조냉동설비, 열에너지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업이 가능합니다. 특히 보일러 관련 업종으로 창업할 경우에는 관련 자격증 소지자를 반드시 1인 이상 보유해야 하며, 기술적 전문성과 안전관리 능력을 갖춘 사업체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2) 취업

에너지관리기능장은 가정용·산업용 보일러 설비업체, 품질관리기관, 에너지진단기관, 냉난방설비 시공업체, 보일러 검사 및 유지관리업체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로 활동하며 후진 양성에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3) 우대

보일러 설비 및 시공 관련 기업에서 에너지관리기능장 보유자는 기술직으로 우대받으며,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에도 자격증 소지자에게 가산점,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서 혜택이 주어집니다.

(4)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시험에서 에너지관리기능장은 공업직렬 일반기계, 농업기계 직류에 응시할 경우 5%의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매 과목 40% 이상 득점해야 하며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자격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5) 자격부여

에너지관리기능장 자격 취득자는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난방시공업 기술인력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따른 제조·설치검사 및 업무관리대행기관 기술인력 등으로도 활동할 수 있습니다.

(6) 직업전망

향후 5년간 에너지관리기능장과 관련된 보일러설치 및 정비 분야의 고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될 전망입니다. 다만, 건축 경기 변동과 건물 자동화 기술 확산으로 인해 숙련된 기술자 중심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워크넷 직업정보)

(7) 임금수준

보일러설치·정비원의 평균연봉(중앙값)은 약 3,870만원으로, 전체 직업 평균연봉(4,072만원) 대비 다소 낮은 편입니다. 그러나 숙련도와 책임 범위가 넓은 에너지관리기능장 자격 보유자는 기업 규모 및 근무 형태에 따라 4,000만~5,000만원 이상의 보수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자료: 워크넷, 2021)

(8) 직업만족도

보일러 설치·정비 분야 종사자의 직업만족도는 64.2%로, 고용 안정성 및 발전 가능성 면에서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관리기능장은 상위 등급 자격으로서 경력 발전성과 기술적 성취감이 높은 직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