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환경위해관리기사 자격증|응시자격·시험일정·합격률·취업전망·연봉 완전정리

2026년 환경위해관리기사 자격증은 유해화학물질과 환경위험 요인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위해성 완화 대책을 수립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국가기술자격입니다. 본 글에서는 이 자격증의 응시자격, 시험일정, 합격률, 취업 전망 및 연봉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환경 · 안전 분야 진출을 준비하는 분들께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환경과 건강을 위협하는 복합적 리스크가 증가하는 시대에 본 자격은 미래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2026년 환경위해관리기사 자격증 정보

기본정보

(1)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2)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3) 응시자격 : 제한 있음

(4)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정보

(1) 환경위해관리기사

환경위해관리기사는 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에 합격하여 취득할 수 있는 자격으로, 화학물질과 유해 요인으로 인한 환경 및 인체 위해성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특히 불산 누출사고나 가습기 살균제 피해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계기로, 유해화학물질의 위해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2019년에 신설된 자격입니다.

(2) 자격특징

환경위해관리기사는 화학물질의 유해성과 위해성을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환경오염과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관리하는 전문 기술 인력입니다. 검정 내용상 ‘안전관리’ 분야에 속하며, 민간 기관이 아닌 국가에서만 시행 가능한 자격으로 분류됩니다. 주요 업무는 유해 화학물질이 환경 및 산업 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위해성관리의 우선순위를 설정한 뒤 그에 따른 저감 방안을 수립하고 관련 기관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환경 위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시험정보

(1) 응시자격 :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 관련학과 전공자 순수 경력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대졸(졸업예정자)
• 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3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1년
• 2년제 전문대졸 + 2년
• 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 + 2년
• 실무경력 4년
(동일, 유사 분야)

(2)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시험과목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필기시험 ① 유해성 확인 및 독성평가
② 유해화학물질안전관리
③ 노출평가
④ 위해성평가
⑤ 위해도 결정 및 관리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시험 위해성 관리실무 필답형, 3시간

(3) 합격 기준

구분 합격기준
필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4) 환경위해관리기사 5년 합격률

연도 응시(필기) 합격(필기) 합격률(필기) 응시(실기) 합격(실기) 합격률(실기)
2024 277 186 67.1% 209 75 35.9%
2023 306 176 57.5% 217 34 15.7%
2022 325 208 64% 263 76 28.9%
2021 426 182 42.7% 322 55 17.1%
2020 459 269 58.6% 327 31 9.5%

(5) 2026년 시험일정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휴일제외)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5년 정기 기사 3회 2025.07.21 ~ 2025.07.24
[빈자리접수: 2025.08.03 ~ 2025.08.04]
2025.08.09 ~ 2025.09.01 2025.09.10 2025.09.22 ~ 2025.09.25 2025.11.01 ~ 2025.11.21 2025.12.24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입니다.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입니다.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 접수 일정 전에는 공지되므로 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고 필수입니다.

※ 위 일정은 2025년 기준이며, 2026년 환경위해관리기사 시험일정은 추후 공개 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6) 응시수수료

필기 실기
19,400원 22,600원

활용정보

(1) 취업
환경위해관리기사는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및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법」에 따라 화학물질, 살생물질 및 관련 제품의 평가, 관리, 승인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나 기업체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 주로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 환경 관련 연구소, 화학물질 관리 컨설팅업체, 산업현장의 안전환경관리 부서 등에서 활동합니다.

(2) 우대
환경위해관리기사 자격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우대받으며,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 인사 관리 측면에서도 가산점이나 자격수당이 부여될 수 있습니다.

(3)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환경위해관리기사 자격증 소지자에게는 5%의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단, 매 과목 40점 이상 득점자에 한하며,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만 해당됩니다.

(4) 직업전망
향후 5년간 환경위해관리기사의 관련 직업인 보건위생 및 환경검사원의 고용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산업화로 인한 환경오염, 화학물질 사고, 전염병 등의 증가로 환경 및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와 기업은 위해성 관리 및 예방 중심의 환경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추세는 환경위해관리기사의 전문 인력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입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5) 임금수준
• 평균연봉: 3,730만원
환경위해관리기사와 관련 직종인 보건위생·환경검사원의 평균연봉(중앙값)은 약 3,730만원으로, 전체 직업 평균연봉(4,072만원)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입니다. 그러나 공공기관 및 대기업 환경안전관리 부서로 진출할 경우 연봉 수준은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자료: 워크넷, 보건위생·환경검사원, 2021)

(6)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 68.9%
환경위해관리기사의 관련 직업군인 보건위생·환경검사원의 직업만족도는 68.9%로, 일자리의 안정성, 발전 가능성, 사회적 기여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친환경 산업 확산과 함께 직무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자료: 워크넷, 보건위생·환경검사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