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자격증 응시자격·시험일정·합격률·취업전망·연봉 완벽정리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국가적 과제로 떠오르면서 태양광 산업 분야의 전문 기술 인력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자격증은 친환경 에너지 시대를 선도하는 핵심 자격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자격은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유지보수, 점검, 운전 등 실무 중심의 전문 기술을 평가하며, 관련 분야 취업이나 창업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필수적인 자격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2026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자격증의 응시자격, 시험일정, 합격률, 취업 전망, 연봉 등 핵심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2026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자격증 정보

기본정보

(1)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2)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3) 응시자격 : 제한 없음

(4)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정보

(1) 자격 개요

①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에 합격한 사람에게 부여되는 자격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의 설치·운영·유지보수에 관한 전문 기술 역량을 인증하는 자격이다.

② 본 자격은 2011년 11월 23일 고용노동부령 제35호에 따라 신설되어 2013년부터 정식 시행되었으며, 신재생에너지 산업 확대에 따라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③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는 태양광, 풍력, 수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의 공학적 이론과 기술을 바탕으로 발전소 및 각종 시설물의 설계, 시공, 운영, 유지관리 등 전반적인 기술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 직무이다.

(2) 주요 업무

①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는 태양광발전소 및 건축물 내 발전 시스템의 설계·시공·감리·운전·유지보수 등 전 과정에 참여하며, 발전 효율을 높이고 안전한 운영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② 또한 에너지 설비의 기술적 진단, 효율 분석, 시스템 최적화 등 전문적 판단을 통해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 발전의 실현에 기여하며, 관련 인허가 업무나 기술감리 등의 부문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3) 신재생에너지의 분야(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제2조)

구분 분야
신에너지
기존 화석연료를 변환하거나 수소·산소 등의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에너지로,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한다.
① 수소에너지
② 연료전지
③ 석탄액화가스화 에너지 및 중질잔사유(重質殘渣油) 가스화 에너지
재생에너지
햇빛·물·지열·강수·생물유기체 등 자연적으로 재생 가능한 자원을 이용하는 에너지로,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한다.
① 태양에너지
② 풍력에너지
③ 수력에너지
④ 해양에너지
⑤ 지열에너지
⑥ 바이오에너지(생물자원 변환 활용)
⑦ 폐기물에너지
⑧ 석유·석탄·천연가스·원자력을 제외한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타 에너지

시험정보

(1)응시자격 :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2)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시험과목 시험방법 시험시간
1차 : 필기시험 태양광 발전 설비 객관식 4지 택일형(60문항) 1시간
2차 : 실기시험 태양광 발전설비 실무 필답형 1시간 30분 정도

(3) 합격 기준

①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②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4) 필기시험 면제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5)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5년 합격률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4 2,951 1,466 49.7% 1,759 906 51.5%
2023 2,870 1,636 57% 1,974 965 48.9%
2022 2,252 1,266 56.2% 1,784 675 37.8%
2021 2,790 1,634 58.6% 2,234 742 33.2%
2020 2,791 1,697 60.8% 2,363 485 20.5%

(6) 2026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시험일정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휴일제외)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5년 정기 기능사 2회 2025.03.17 ~ 2025.03.21
빈자리접수: 2025.03.30 ~ 2025.03.31
2025.04.05 ~ 2025.04.10 2025.04.16 2025.04.21 ~ 2025.04.24
빈자리접수: 2025.05.25 ~ 2025.05.26
2025.05.31 ~ 2025.06.15 2025.07.04
2025년 정기 기능사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과정
필기시험 면제자만 응시 가능
- - 2025.05.19 ~ 2025.05.22 2025.06.14 ~ 2025.06.25 2025.07.25
2025년 정기 기능사 3회 2025.06.09 ~ 2025.06.12
빈자리접수: 2025.06.22 ~ 2025.06.23
2025.06.28 ~ 2025.07.03 2025.07.16 2025.07.28 ~ 2025.07.31
빈자리접수: 2025.08.24 ~ 2025.08.25
2025.08.30 ~ 2025.09.17 2025.09.30
2025년 정기 기능사 4회 2025.08.25 ~ 2025.08.28
빈자리접수: 2025.09.14 ~ 2025.09.15
2025.09.20 ~ 2025.09.25 2025.10.15 2025.10.20 ~ 2025.10.23
빈자리접수: 2025.11.16 ~ 2025.11.17
2025.11.22 ~ 2025.12.10 2025.12.24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입니다.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입니다.
※ 시험 일정은 종목별·지역별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 2025년 일정 기준이며, 2026년 시험일정은 추후 공개 예정입니다.

(7) 응시수수료

필기 실기
14,500원 17,200원

활용정보

(1) 기계설비기술자 자격 부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는 국가기술자격법, 건설기술진흥법 및 관련 대통령령에 의해 기계설비기술자 자격이 부여된다. 이는 태양광 설비의 시공, 유지관리, 점검 등의 전문 기술을 갖춘 인력을 인정하는 제도로, 해당 자격을 취득하면 기계설비 관련 분야에서 기술인으로서의 전문성과 공신력을 확보할 수 있다.

(2) 신재생에너지 산업 성장 및 고용 전망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2030년까지 약 2,00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태양광 발전 분야는 약 630만 개(31.5%)의 일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자격 보유자의 취업 기회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글로벌 친환경 전환과 더불어 국내외 태양광 시장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도 예상된다.

(3) 직업전망
태양광 설비 설치 및 유지보수 관련 일자리는 향후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과 민간의 투자 확대에 따라 태양광 발전소 건설, 유지관리, 점검 분야의 인력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는 이러한 산업 구조 속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4) 임금수준
태양광 발전 관련 직종의 평균 연봉은 약 5,393만원으로, 전체 직업 평균인 4,072만원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자격을 취득한 전문 기술자는 발전소 운영관리, 설비점검, 시공감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근무할 수 있으며, 숙련도와 현장 경험에 따라 연봉 상승폭이 크다. (출처: 워크넷, 태양광발전연구 및 개발자, 2021)

(5) 직업만족도
태양광 발전 관련 직업의 직업만족도는 76.6%로, 높은 수준을 보인다.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는 안정적인 고용환경과 지속적인 기술 발전 가능성, 친환경 산업에 기여한다는 직업적 보람 등으로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출처: 워크넷, 태양광발전연구 및 개발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