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건축시공기술사 자격증 응시자격·시험일정·합격률·취업전망·연봉 총정리

건축시공기술사는 건축 현장의 시공 전 과정을 총괄·관리하는 최고 수준의 전문가로, 건축 공정의 품질과 안전을 확보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맡습니다. 2026년 건축시공기술사 자격증은 복잡한 건축공사의 설계 검토, 시공계획, 품질관리, 안전관리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국가기술자격으로, 건축 분야의 실무경험과 전문지식을 검증합니다. 본 글에서는 2026년 건축시공기술사 자격증의 응시자격, 시험일정, 합격률, 취업 전망, 연봉 정보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2026년 건축시공기술사 자격증 정보

기본정보

  • (1)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 (2)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3) 응시자격 : 제한 있음
  • (4)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정보

(1) 건축시공기술사

건축시공기술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을 통해 취득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건축 전문자격으로, 응시자격 요건을 충족하고 필기 및 면접시험에 합격해야 합니다.이 자격은 부실공사와 건설현장의 재해를 예방하고, 공사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건축의 계획과 설계, 시공, 관리 등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공학적 지식과 풍부한 실무 경험을 겸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2) 주요 업무

건축시공기술사는 시공 현장의 전반적인 기술관리 및 품질관리를 담당하며, 구조적 안정성과 효율적인 공정 운영을 위한 계획·연구·설계·분석·시험·운영·시공·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건축 프로젝트의 지도 및 감리, 기술 자문 등의 역할도 맡아 건축물의 안전과 완성도를 높이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시험정보

(1) 응시자격 :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 관련학과 졸업자 비관련학과 졸업자 순수 경력자
· 동일(유사)분야 기술사
· 기사 + 4년
· 산업기사 + 5년
· 기능사 + 7년
· 동일종목의 외국자격취득자
· 대졸 + 6년
· 3년제 전문대졸 + 7년
· 2년제 전문대졸 + 8년
· 기사(산업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6년(8년)
폐지 9년(동일, 유사 분야)

※ 관련학과 : 건축시공기술사는 4년제 대학교 및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건축, 건축공학, 건축시공학, 건축설비, 실내건축, 건축설비기계공학, 전기공학, 건축재료공학 등 관련 학과에서 건축관련 교과목을 이수하면 자격취득에 유리하다. 기능대학이나 직업전문학교의 관련 학과, 기술전문학원의 강좌를 통해서도 자격시험준비가 가능하다.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2)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시험과목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필기시험 건축시공, 공정관리 및 적산에 관한 사항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
(매 교시당 100분, 총 400분)
면접시험 - 구술형 면접시험(약 30분)

(3) 합격 기준 : 필기 및 면접시험은 각각 100점 만점으로 평가되며, 과목별 60점 이상을 취득해야 합격으로 인정됩니다.

(4)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는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이 면제됩니다.

(5) 건축시공기술사 5년 합격률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4 2,816 124 4.4% 255 136 53.3%
2023 2,828 122 4.3% 208 110 52.9%
2022 2,322 171 7.4% 252 148 58.7%
2021 2,739 147 5.4% 234 157 67.1%
2020 2,495 260 10.4% 382 259 67.8%

(6) 2026년 시험일정

구분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필기시험 필기합격(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휴일제외)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5년 정기 기사 135회 2025.01.06 ~ 2025.01.09
[빈자리접수: 2025.02.02 ~ 2025.02.03]
2025.02.08 2025.03.12 2025.03.17 ~ 2025.03.21
[빈자리접수: 2025.04.13 ~ 2025.04.14]
2025.04.19 ~ 2025.05.02 2025.05.09
2025년 정기 기사 136회 2025.04.07 ~ 2025.04.10
[빈자리접수: 2025.05.11 ~ 2025.05.12]
2025.05.17 2025.06.25 2025.06.30 ~ 2025.07.03
[빈자리접수: 2025.07.27 ~ 2025.07.28]
2025.08.02 ~ 2025.08.16 2025.09.05
2025년 정기 기사 137회 2025.07.14 ~ 2025.07.17
[빈자리접수: 2025.08.17 ~ 2025.08.18]
2025.08.23 2025.09.30 2025.10.13 ~ 2025.10.16 2025.11.15 ~ 2025.11.26 2025.12.12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입니다.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입니다.
※ 시험 일정은 종목별·지역별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 접수 일정 전 공지되는 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반드시 참조 바랍니다.
해당 표는 2025년 기준이며, 2026년 건축시공기술사 시험일정은 추후 공개될 예정입니다.

(7) 응시수수료

필기 실기
67,800원 87,100원

활용정보

(1) 취업

건축시공기술사는 일반건설회사, 전문건설회사, 감리전문회사 등 다양한 건설 관련 기업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택건설회사, 건축설계회사, 엔지니어링회사, 기술사사무소, 안전진단전문기관, 건설품질검사기관, 측량 및 유지관리회사, 건설교육기관 등으로의 진출이 가능합니다. 나아가 건축시공 관련 연구소나 공공기관의 기술직 분야에서도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2) 우대

건축시공기술사는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과 일반기업 채용 시 우대받으며, 보수·승진·전보 및 신분보장 측면에서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에서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건축시공기술사는 시설직렬의 건축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 또는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인 경우 모두 5%의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가산특전은 필기시험 각 과목 40% 이상 득점자에게만 적용되며,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해 인정됩니다.

(4) 자격부여

건축시공기술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따른 감리전문회사 등록 시 감리원 자격이 부여되며,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위험작업 교육기관 지정신청을 위한 기술인력,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 등록 기술인력으로도 활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건설 관련 법령에서 인정되는 고급 기술인력으로서 전문 영역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5) 직업전망

향후 건축시공기술사의 일자리 규모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전망입니다. 신규 주택 건설 시장은 다소 감소할 수 있으나, 재건축·리모델링 및 건축물 유지관리 분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건축물과 에너지 효율형 설계에 대한 수요 또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고용 수요가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워크넷 직업정보)

(6) 임금수준

건축시공기술사의 평균 연봉(중앙값)은 약 4,662만 원으로, 전체 직업 평균연봉(4,072만 원) 대비 높은 수준을 보입니다. 이는 숙련된 기술력과 프로젝트 관리 역량이 요구되는 직무 특성에 기인합니다. (출처: 워크넷, 건축시공기술자 2021)

(7) 직업만족도

건축시공기술사의 직업만족도는 약 71.2%로, 일자리 안정성, 성장 가능성, 기술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프로젝트 전반을 총괄·관리하는 직무 특성상 성취감이 크며, 장기적인 경력 발전 가능성도 우수한 편입니다. (출처: 워크넷, 건축시공기술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