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청량리역 시간표 경의중앙선 노선도 급행 첫차 막차 평일 주말 다운로드
2025 청량리역 시간표 경의중앙선 노선도 급행 첫차 막차 평일 주말 다운로드
푸른 미나리 밭의 상전벽해 1911년 10월 15일 경원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청량리역은 중앙선의 시종착역으로, 실제로는 청량리동이 아니라 전농동에 위치하고 있다. 청량리라는 지명은 인근에 청량사라는 유명한 사찰이 있었다는 설과 수목이 울창하고 서늘하여 붙여졌다는 설도 있는데 실제 1914년 무렵에도 파란 미나리 밭이 인상적인 농경지였다고 한다. 1938년 경성부 편입으로 잠시 동경성역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가 1942년 다시 청량리역으로 돌아왔다.
1971년 이후로는 폐역된 성동역을 대신해 경춘선의 시종착역 기능을 맡기도 하였으며, 2010년 민자 역사 완공으로 오늘날의 모습이 되었다. 지하철역 1호선을 비롯해 수인·분당선, 경원선, 경춘선, 경의·중앙선 등 6개의 노선이 지나는 거대 환승역일 뿐 아니라 백화점과 약령시장, 경동시장 등 다양한 재래시장이 인근에 위치하여 동부서울의 거대 물류, 여객의 공간으로 손꼽힌다.
![]() |
2025년 경의중앙선 청량리역 시간표 정보
![]() |
경의중앙선 노선도
![]() |
임진강-운천-문산-파주-월롱-금촌-금릉-운정-야당-탄현-일산-풍산-백마-곡산-대곡-능곡-행신-강매-한국항공대-수색-디지털미디어시티-가좌-신촌-서울역
홍대입구-서강대-공덕-효창공원앞-용산-이촌-서빙고-한남-옥수-응봉-왕십리-청량리-회기-중랑-상봉-망우-양원-구리-도농-양정-덕소-도심-팔당-운길산-양수-신원-국수-아신-오빈-양평-원덕-용문-지평
첫차/막차
![]() |
![]() |
시간표
![]() |
![]() |
급행 정보
문산~용문(지평) 운행 계통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등을 경유하며, 배차는 덕소행 9~15분, 용문행은 출퇴근시간 9~10분과 평상시 20~30분 가량이다. 평일 출근시간대는 대부분 열차가 전 구간을 운행한다. 나머지 시간대는 문산행, 덕소행, 팔당행, 용문행 등으로 운행된다. 지평행은 평일에는 하루 편도 6회와 왕복 12회로 운행되고 주말, 공휴일에는 하루 편도 5회와 왕복 10회로 운행된다.
중간 시종착의 경우에는 일산행, 대곡행, 능곡행, 수색행, 용산행, 청량리행, 덕소행, 팔당행 등으로 운행하며, 당초 계획은 양방향 상시 급행을 운행할 예정이었으나 6량화 무산과 8량 편성 부족 등을 이유로 실현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평일 출퇴근시간대를 한정으로 기존에 운행된 급행을 연장 운행하며, 자전거열차는 주말 용산 ~ 양평 전용 운행 계통이 폐지되어 혼용 운행된다.
경의선 급행
출근시간대 상행 2회, 하행 3회와 퇴근시간대 상행 2회, 하행 1회로 운행한다. 운행 환경에 따라 행선지가 덕소급행과 팔당급행으로 운행하며, 정차역은 수도권 전철 경의선 시절과 동일하다. 운정역은 운행 시각에 따라 정차 유무가 다르며, 출근시간대 하행 3회와 퇴근시간대 상행 1회가 정차한다.
정차역 : 문산 - 금촌 - 금릉 - 운정 - 탄현 - 일산 - 백마 - 대곡 - 행신 - 디지털미디어시티 - 홍대입구 - 공덕 - 용산 이후 경원선, 중앙선 구간은 각역정차 중앙선 급행
수도권 전철 중앙선 시절 운행된 급행열차를 용문급행으로 연장 운행하며, 출근시간대 상행 2회와 퇴근시간대 하행 2회로 운행된다. 상행은 수색역까지만 운행하고 하행은 문산역에서 출발한다.
정차역 : 경의선, 용산선 구간은 각역정차 - 용산 - 이촌 - 옥수 - 왕십리 - 청량리 - 회기 - 상봉 - 구리 - 도농 - 덕소 - 도심 - 양수 - 양평 - 용문 문산 ~ 서울 운행 계통
경의선 통근열차 시절부터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 이후에도 유지되어 운행한다. 경의중앙선 개통과 함께 몇차례 개편되면서 평일시간대는 낮 12시 ~ 오후 4시 기준으로 전 편성이 급행열차로 전환되어 운행되는 것을 제외하면 기존에 운행하던대로 운행한다. 주말과 공휴일은 첫/막차 포함 각각 후편성 2편성과 전편성 2편성 정도를 제외하면 대곡 착발로 운행하며, 4량 9편성이 운행된다.
배차는 출퇴근시간 30분과 평상시는 1시간이며, 이는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의 KTX와 수색차량사업소의 일반열차 입·출고로 인한 선로용량 포화상태 때문이다. 따라서 서울역과 신촌역의 역 번호는 공식적인 경의선으로는 본선이지만 수도권 전철의 안내 체계상으로는 지선 형태의 역번호를 갖게 되었다.
급행
출퇴근시간대에 상하행 8회로 운행되며, 평상시를 제외한 낮 12시와 오후 2시 ~ 4시 가량에도 서울역 착발 문산행은 급행으로 운행된다.
정차역 : 서울 - 신촌 - 가좌 - 디지털미디어시티 - 행신 - 대곡 - 백마 - 일산 - 운정 - 금촌 - 문산
청량리역 경의중앙선 시간표 다운로드
현재 포스팅을 읽고 계신 분들 중에서 청량리역 시간표가 필요하신 분들은 위의 링크를 클릭,구글 드라이브 접속 후 무료로 다운받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댓글 쓰기